씨앗을 받기위해 관리하고 있는 조선배추. 엇그제 우연히 발견한 진딧물을 보고 낭패감이 들었다. 그전에는 분명 없었을뿐더러 무엇보다 무당벌레들이 많이 보여서 안심하고 있었는데 이렇게 되어버렸다. 참고: '개미와 진딧물과 무당벌레의 삼각관계'
꼬투리 무게를 못이겨 한쪽으로 쓰러져있다. 끈으로 묶어봤지만 약하다. 보강해서 다시 세울까도 해봤지만 뿌리가 다칠까봐 그냥 두고 있다. 다음에는 좀 더 확실하게 잘 묶어주자.
군데군데 벌레가 먹어 작은 구멍이 나있다. 이미 말라버린 것도 있다.
무당벌레 한 마리 보인다. 하지만 바로 그 옆으로 진딧물이 가득한데도 그냥 지나친다.
떼어내 버렸다. '누렇게 익은 부분이 전체의 80% 즈음 되었을 때 베어 말려라'는 말을 들었는데, 진딧물때문에 마음이 조급해 졌다. 이 밭에서 난 건 일단 베어 말리기로 한다.
혹시나 떨어질까 옮기는게 무척 조심스럽다. 여기 밭에서는 씨를 많이 못 얻을지도 모르겠다.
'토종씨앗 농사짓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배추의 일생 (조선배추 씨앗받기) (2) | 2016.06.24 |
---|---|
토종오이는 뉘여 키워야 혀~ (2) | 2016.06.18 |
추스르기 (0) | 2016.05.31 |
2016년 텃밭 작물재배 지도 (0) | 2016.05.17 |
잘 돋아나는 녀석들 (0) | 2016.05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