주제 : 덧술빚기
- 3월 31일
1. 찹쌀 4kg 살살 씻는다.(비벼 씻지 않고 손가락 벌려 긁듯이 3~4회)
2. 물 넉넉히 담아 밤새 불린다.
3. 다음날 물기 빼고(1시간) 찐다. 쑥 150g 위에 얹어 함께.
4. 김나기 시작하면서 부터 40분. (맵쌀은 1시간), 10분간 뜸뜰인다.
5. 뜨거운 물 2리터 부어 주걱으로 저어 섞는다.
6. 펼쳐 식힌다.
7. 밑술 넣고 살살 버무린다. (얇은 끈이 보일때까지)
8. 하루 2번 일주일간 저어준다.
* 면보를 물에 적신 후 쌀을 담아 찐다.
* 찜기에서 김이 샐 때는 랩으로 감으면 된다. 밀가루 바르지 말 것!
*아래 내용은 수업시간에 들은 걸 정리한 것이다.
- 술에 종초를 더하면 식초가 된다.
- 밑술에서 덩어리가 생긴 것은 잘못된 것이다. 그 덩어리는 술 다 될때까지 남는다.
쌀가루를 덜 쓴 것과 같으므로 발효가 빨리 진행된다.
- 수업시간에 배운 것과 다른 방법도 많다. 응용이 필요하다.
밑술(범벅) + 덧술(죽), 밑술(쌀가구) + 덧술(쌀가루)도 가능하다.
- 효모가 적으면 당이 많이 살아있어 더 달다. 즉, 효모가 당을 먹어야 알콜이 되는데 그게 적으니까.
- 누룩의 양은 쌀재료의 7% 이내로 할 것.
- 누룩양을 줄여서 실습해 볼 필요가 있다. 자신만의 술이 가능.
- 멥쌀에 비해 찹쌀은 분해가 빠르다.
- 밑술의 재료로 경단, 수제비, 칼국수도 가능하다. 단, 재료에 따라 크기와 수분양이 달라진다.
- 밑술+밑술+덧술을 하면 신맛이 없어진다.
- 온도 24~25도가 안되어도 술은 된다. 속도가 느릴 뿐.
- 덧술 붓고 4~5일만 저어라.
- 알코올은 효모에 의해 발효되어 만들어진다. 효모의 먹이인 당이 필요하다.
- 효모는 미생물이니까 계속 살 수 없다. 죽으면 썩고 냄새가 난다.
- 와인을 오래 보관해도 되는 이유는 효모가 살아있지만 탄닌성분이 자체살균하기 때문이다.
- 생막걸리는 효모가 살아있는 것. 시간이 갈수록 맛이 변함.
- 살균막걸리는 살균처리로 효모가 죽음. 장점은 유통기한이 길어지고 알콜도수 맘대로 조정
가능하며 맛이 일정하다는 것.
- 막걸리 발효하면 알콜도수가 18도까지 올라간다. 여기에 물을 섞어 마신다.
단, 원하는 시간에 예를들면 알콜도수가 6도에서 멈춰 물 안타고 그냥 마시면 당이 많이 남아 맛이
더 좋다. 취향문제.
- 밑술의 용도는 효모의 증식을 위한 것이다.
- 단양주, 한번 빚은 술은 일주일 못 넘긴다. 그 안에 마셔야 한다.
- 밑술재료가 죽 : 술 빛깔이 맑고 밝다. 발효기간이 짧다. 범벅보다 더 달다. 신맛이 날 수 있다.
- 밑술재료가 백설기 : 감칠맛이 뛰어나다. 물양조절을 맘대로 할 수 있다.
- 밑술재료가 인절미, 개떡 : 물을 거의 안쓰는 술이다. 덩어리 풀어주는 게 힘들다.
- 밑술재료가 구멍떡 : 술은 달고 부드럽고 향기가 뛰어나다. 덩어리 풀어주는 게 힘들다.
- 범벅밑술의 발요시일은 평균 25도에서 3~5일 걸린다.
- 밑술이 좋은 술맛을 결정한다.
- 덧술에서 쌀,누룩,물을 함께 사용하면 알콜도수가 낮아지고 산패되기 쉽다.
'농사와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부여한옥학교, 2014년 겨울 (0) | 2017.01.09 |
---|---|
전통주 주조사 자격반 교육 2 (11) | 2016.04.09 |
전통주 주조사 자격반 교육 1 (33) | 2016.04.08 |
흙을 알아야 농사가 산다 (0) | 2016.03.19 |
새 한입, 벌레 한입, 사람 한입 (0) | 2016.03.16 |